그래. 확실히 이런 게 바로 미국 실리콘밸리 IT 기업의 행사지!

 

 711일 오전 1030(미국 서부 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베이 리조트(Mandalay Bay Resort)에서 개막한 ‘Cisco Live!’의 오프닝은 매우 이상적이었다. 아마 내가 꿈을 꾸거나 머릿속으로 첨단 IT기업의 글로벌 행사 시작을 그려봤을 때 나올 법한 풍경이라고나 할까. 확실히 두 달 전 같은 곳에서 열렸던 IT 기업 EMC의 행사와 비교해서도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금융회사나 컨설팅기업의 전략 컨설팅 컨퍼런스 같았던 EMC World와 달리 Cisco LiveIT 기업의 행사란 이래야 하지 않을까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켜줬다.(동부와 서부의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다름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잠깐 했다.)


<만달레이 베이 컨벤션센터 현장 by wonkis>


 하루 전날인 10일 사전행사가 있었지만 비행기 도착이 늦어져 참석하지 못한 채 맞이한 오프닝. 만달레이 베이 컨벤션센터 입구에서부터 서늘한 기운과 함께(밖은 40도인데 안은 긴 팔을 입고도 싸늘할 만큼 추웠다) 번쩍이는 불빛이 보였다. 컨센벤션터 안쪽은 더 굉장했다. 수많은 불빛이 자욱한 안개를 뚫고 곳곳을 비추면서 현란함이 더해졌다. 살면서 이런 광경을 그리 많이 보진 않을거다. 아마.


<Cisco Live 2016 by wonkis>

 

 오렌지색 셔츠를 입은 행사 진행자들과 함께 곳곳에 어릿광대(?) 복장을 한 도우미들이 춤을 추면서 자리를 안내하고 있었다. 어깨를 들썩이게 만드는 음악은 동양인으로 보이는 여성DJ의 흥겨운 리드에 맞춰서 홀 전체를 들었다 놨다 했다.

 

 행사는 1030분부터였지만 기자들은 930분부터 도착해 있었다. ‘왜 이렇게 일찌감치 자리에 앉혔나하면서 잠깐 투덜대기도 했지만(시스코는 참석자들이 길을 잊을까봐 걱정이 되는지 일일이 따라다니면서 다음엔 어디로 가라고 챙겨준다. 행사장이 워낙 넓어서 그럴 만도 하다.) 금새 그 생각은 잊혀졌다. 시스코 직원들의 사내 방송으로 보이는 즉석 현장 인터뷰와 행사 진행이 거대한 스크린에서 계속 나오고 있었는데 제법 재미가 쏠쏠했다. 하여간 이들의 끼는 대단하다. 마치 태어날 때부터 세상엔 즐거운 일이 가득할 거야 하면서 태어난 사람들같다. 내가 앉아 있는 글로벌 프레스(미국 입장에서 보면 외신 기자들) 자리를 제외하고 상당수 사람들이 자리에 앉아서도 흥을 이기지 못하겠다는 등 어깨와 팔 다리를 움직이거나 장난스런 표정으로 춤을 추고 있었다.(주로 유럽과 아시아에서 건너온 외신 기자들은 시차와 이들 직업 특유의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일상과 현장 분위기의 부조화로 인해 약간 쳐져 있었다. 일부는 그 와중에도 졸고 있었다.)

 

 그리고 쇼가 시작됐다. 갑자기. 어느새 1시간이 후딱 지나 1030분이 된 것이다! 멍하니 입을 벌린 채 그냥 볼 만큼 멋졌다! 서커스와 뮤지컬의 한 장면을 한데 합쳐 놓은 듯한 쇼였다.

<Show! in Cisco Live 2016 by wonkis>

 

 엄청난 오프닝 쇼에 비하면 시스코 CEO 척 로빈스의 등장은 비교적 평범(?)했다. 오라클이나 애플 행사에서 느꼈던 어떤 종교집단의 집회나 락스타의 콘서트장 같은 분위기는 전혀 없었고, 구글의 긱(geek)스러운 느낌도 나지 않았다. 글쎄. 아마 창업자가 아닌 전문 경영인이 가질 수 있는 카리스마의 한계 때문일까.


<척 로빈스 시스코 CEO. 시스코 제공>

 

 그래도 그의 연설은 울림이 있었다. 그가 계속해서 같은 질문을 반복했기 때문일까. (개인적으로 뭔가 심오한 듯한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에 끌리는 경향이 있다.) 그는 자주 이 말을 했다. “What does technology mean?”


 기술의 발전이 이 시대에 갖는 의미가 무엇인가에 대한 통찰이었다. 그게 이 컨퍼런스의 주제 같기도 했다. 기술 발전이 인류에게 갖는 의미라는 화두였다.

척 로빈스 CEO는 오늘날 세상의 변화를 가져오는 단일한 가장 큰 변수는 기술이라고 단언했다. 급격한 기술의 발전이 국가를 변화시키고,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을 바꾸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30여년 전 금융회사에서 엔지니어로 사회 생활을 시작했다고 한다.(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간간이 섞어 이야기했다) 그때 ITCost Center였다고 한다. 돈이 잔뜩 들어가는, 하지만 안 할 수는 없는. 하지만 이제는 기술이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는 전략이 됐다는 설명이 이어졌다.


 그는 기조연설에서 시스코의 혁신 전략을 설명하기도 했다. Build, Buy, Partner, Invest, Co-develop 등이 시스코의 혁신 전략이었다. 클라우드에서 오는 혁신이나, 보안의 중요성, 매년 60억 달러를 R&D에 쏟고 있는 시스코의 노력 등도 소개됐다. 시스코가 최근 인수한 기업들의 중요성이나 애플, 에릭슨과의 파트너십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이어졌다.


<간담회 장면. 시스코 제공>

 

 하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그의 연설 마지막 부분이 마음에 들었다. 나도 모르게 그 이슈를 계속 생각했다. 디지털 컨트리즈가 사회적인 이슈들을 기술로 해결하고 있다는 얘기였다. 이 이야기는 이어진 기자간담회 자리에서도 계속됐다. 이제는 기술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가 차이가 크게 벌어질 것을 예고하기도 했다. 디지털을 빠르게 적용한 국가는 이미 산적해 있는 국가 차원의 문제나 사회적인 이슈를 해결하는 데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도 했다. 영국과 이스라엘, 인도와 독일, 프랑스 등이 그가 든 사례였다.

 

기술로 인해 국가가 변화되고 있는 게 기술의 진정한 힘이라는 그의 말에 공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기술자처럼 생각하고 기업가처럼 행동할 때 국가가 변화되고 인류 공통의 문제들이 해결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고도 했다. 자 이처럼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기술이 변화의 주된 동력이 되는 이런 시대. 그래서 그의 연설과 기자간담회의 말미는 동일하게 끝났다. 지금 이 시대는 가히 시스코와 같은 기술 기업의 시대라고 할 만하지 않을까. “Our time is now, Your time is now.”

 

by wonkis

,

수포자(수학포기자)가 없는 세상을 꿈꾼다는 비트루브!. 이들은 심지어 수학이 세상에서 제일 쉬운 과목이라고 한다!! 짐작했겠지만 비트루브는 수학 교육에 특화된 스타트업이다. 수포자 자녀를 두고 애를 태우고 있는 수많은 학부모들이 비트루브의 이런 주장(?)을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들지 모르겠지만, 이들은 사실 이런 말을 할 만한 사람들이다.


 비트루브의 창업멤버들은 전부 수학에는 도가 튼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수학과 박사거나, 유명 수학학원 강사 출신이거나, 수학이 가장 재밌고 쉬웠다는 이들이다. 게다가 이들의 자신감의 근거는 이게 다가 아니다. 자녀가 있는 대부분의 부모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는 수학 학습에 대해 비트루브는 어떤 솔루션을 갖고 있을까.


오답에도 패턴이 있다

비트루브 창업자 4인방 오태형, 김세훈, 정두섭, 안명훈은 모두 한성과학고 1기 동기동창이다. 넷은 전부 서울대학교에 진학했다. 오태형과 정두섭은 수학과, 안명훈은 전산학과, 그리고 김세훈은 재료공학과에 들어갔다. 다들 학창 시절 공부로는 다들 한가닥씩 했던 인물들임을 알 수 있다.


 오태형 대표는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했다. 석사 학위를 받고 박사 과정 재학 중이던 2011년 학원에서 일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수학을 주로 가르쳤는데 학생들이 틀리는 것에도 일정한 패턴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즉 오답에도 몇 가지 유형이 있다는 걸 알게 된거죠. 왜 이럴까 하는 생각을 하다가 이것을 바로잡을 방법이 있다는 것에 생각이 미쳤습니다.”


 그는 수학이 일종의 논리 과정의 집합이라고 봤다. 결국 수학 문제를 푼다는 것은 이런 논리 과정에 맞는 경로를 따라가서 답에 이르는 것인데, 오답이 나오는 것은 이 논리 과정 중 어딘가를 잘 모르거나 착오를 일으키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특정 논리 과정을 건너뛰거나 잘못될 경우 오답이 나오기 때문에 오답 경우의 수가 무한대로 나오지는 않는다.

문제를 풀이단계별로 해체해 구분해 놓으면 아이들이 어디에서 문제를 풀다가 틀리는지 파악이 가능하겠다


 이것이 그의 최초 문제의식이었다. 이걸 떠올린 후 그는 재밌겠는걸? 흥미롭다. 이걸로 한번 사업을 해 볼까라고 생각하게 된다.


<비트루브 창업멤버 4인방. 왼쪽 두 번째가 오태형 대표>


 이런 아이디어를 갖고 그는 친구들과 얘기를 했다. 정두섭은 서울대 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수학연구소에서 일하고 있었다. 김세훈은 서울대 재료공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서울대 신소재연구소에서 일했고 안명훈은 장미디어인터랙티브, 비티웍스 등에서 일하고 있었다. 이들 넷은 20139월 비트루브라는 법인을 설립했다. “수준이 다르고, 개념에 대한 이갸가 다른 학생들한테 같은 문제를 풀게 하면 안된다는 게 비트루브의 문제의식이었습니다.”


 이들이 창업을 하게 된 또 다른 이유는 이른바 맞춤형 교육방법으로 지도를 한다는 곳이 해당 학생의 근본적인 취약점을 개선하는데는 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대부분 기존 학원이나 교육기관들은 어느 분야를 보완하라는 식으로 보통 지도를 합니다. 예를 들어 미분 문제를 자꾸 틀리는 학생한테는 계속 미분 문제를 풀게 하는 방식이죠. 하지만 미분 문제를 자꾸 틀리는 학생의 취약점이 사실이 전혀 엉뚱한 곳에 있을수도 있는데 그건 들여다보지 않는거죠. 취약한 논리 과정과 개념을 찾아내고 이 부분에 대한 이해를 높인 뒤 그 다음에 어떤 식으로 공부를 하면 된다고 가르치면 어떨까. 이렇게 본 겁니다. 어디에서도 제시해주지 않는 학습경로를 제시해주기로 했습니다.”


취약점 진단 치료 서비스 마타수학

비트루브가 개발한 마타수학은 학생들의 취약점을 파악한 뒤 약점을 치료해준다. 이를 위해선 각자의 수준과 취약점을 파악하는 게 최우선. 학생들에게 문제를 풀게 한 뒤 어떤 개념의 이해에서 어려움을 겪는지 분석을 한다.


 다양한 문제도 확보해야 하고, 분석의 틀도 마련해야 한다. 수학과 출신 내부 연구원 4명과 외부 전문 위촉연구원 등이 기존 수학능력시험이나 모의고사, 평가원 기출 문제 등을 조금씩 변형시켜 문제를 만들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모으고 있다. 20164월 현재 2만개의 문제가 확보돼 있고 올해 말까지 3만개의 문제를 축적할 계획이다.


 단순한 개념 파악형 문제부터 다양한 수학 개념과 논리 연산 과정이 복합적으로 포함된 문제까지 종합적으로 구성을 해 학생들에게 제시한 뒤 오답 유형을 분석해 데이터를 쌓는다. 마치 딥러닝을 하듯이 수많은 데이터를 돌려 오답 유형에 따라 어떤 개념적 이해가 부족한 지 진단을 하고 이를 치료해줄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해준다. 이 문제를 따라서 풀다보면 자신의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마타수학 문제를 풀어본 학생들의 90% 이상이 성적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지난해부터 메가스터디를 통해 마타수학 문제를 제공하고 있는데 여기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해 본 결과다.


 외부 반응은 좋다. 2013년과 2014년 중소기업청 주관 창업맞춤형 사업에 선정됐고 20146월에는 서울대학교 연구공원에 입주했다. 지난해에는 케이큐브벤처스로부터 투자도 받았다.


 현재까지는 웹으로 서비스를 하고, 메가스터디를 통해 문제를 제공하고 있지만 다음 달 중에는 닥터마타라는 수학 공부 앱을 출시할 예정이다. 학생들이 틀리는 문제를 찍어서 앱에 올리면 학생들의 수준을 파악하고 취약점을 분석해 이 학생에게 가장 좋은 학습경로를 제시한다. 부분 유료화 개념을 도입, 어느 정도까지는 질문이 공짜로 할 수 있지만 이후엔 유료 결제 모델을 붙일 계획이다.


 이 서비스의 좋은 점은 해외 진출이 가능하다는 것. 수학은 그 자체가 언어이기 때문에 언어의 차이에 따른 장벽이 낮은 편이다. 이미 올들어 대만 시장에 진출했고 내년에는 미국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현재 고등 교육 과정에만 적용하고 있지만 중등 교육 과정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비스를 하면서 중학교 수학에서도 이에 대한 수요가 상다하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한다.


 오 대표는 자기주도 학습이 안되는 이유는 어디서부터 뭘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모르기 때문이라며 무작정 유형별 솔루션을 제시하는 게 아니라 학생의 특성에 맞춘 공부방법을 제시해 수포자가 없는 세상을 만드는 게 꿈이라고 말했다.

 

by wonkis 

,
BLOG main image
임원기의 人터넷 人사이드
인터넷과 그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에 대한 블로그.
by wonkis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66)
뉴미디어 세상 (119)
게임이야기 (66)
임원기가 만난 사람들 (55)
(책)네이버 성공 신화의 비밀-그 이후 (61)
夢幻泡影-삶과 꿈,살아가는 이야기 (55)
책 다시보기 (25)
한국의 스타트업 (293)
San Francisco&Berkeley (29)
스타트업 소식 (17)
한국의 스타트업 시즌2 (26)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VC (14)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NM Media textcube get rss DNS Powered by DNSEver.com
wonkis's Blog is powered by Tistory. Designed by Qwer999. Supported by TNM Media.